본문 바로가기

수다스러운 배롱나무

by 사자는어흥어흥 2021. 3. 26.





수고 5~6m 정도로 구불구불 굽어지며 자란다. 수피는 옅은 갈색으로 매끄러우며 얇게 벗겨지면서 흰색의 무늬가 생긴다. 타원형의 잎은 마주나고 둔두 또는 예두이고 원저이다. 표면에 광채를 띄며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듬성듬성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배롱나무 거의 없다. 가지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의 꽃은 홍자색으로 피고 우리나라에서는 7월부터늦가을까지 꽃이 달려있다. 꽃받침은 6개로 갈라지고꽃잎도 6개이다. 수술은 30~40개, 암술대는 1개로 밖으로 나와 있다. 삭과인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익는다. 흰색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 한다.
한자어로는 자미화(紫薇花)라하며, 개화기가 길어서 백일홍이라고도 한다.백일홍은 국화과 식물에도 있으므로 구별하기 위하여 목백일홍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한다. 충청도 지방에서는 수피를 긁으면 잎이 흔들린다 하여 간지럼나무라고 부르기도한다. 학명은 Lagerstroemia indica L. 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홍색 또는백색이며 양성으로서 원추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은 6개로 갈라지고 꽃잎도 6개로서 주름이 많다. 수술은 30∼40개이지만 가장자리의 6개가 가장 길고 1개의 암술은 길게밖으로 나왔다.





흰색 꽃이 피는것을 흰배롱나무(for. alba)라고 하는데, 인천광역시에서 자란다.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꽃은 지혈·소종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 월경과다·장염·설사 등에 약으로 쓴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이고 10월에 성숙하며 6실 또는 7,8실로 갈라져 있다. 개화기가 길고 꽃이 아름다워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양화소록(養花小錄)』에도 기록된 것으로 미루어 배롱나무 예전부터 정원수로 식재되었음을 알 배롱나무 수 있다. 주로 연못가에 많이 심었다. 꽃에는 활혈(活血)·지혈·소종(消腫)의효능이 있어 혈붕(血崩)·월경과다·적백대하(赤白帶下)·외상출혈·장염·설사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중국이 원산지인 낙엽활엽소교목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며 추위에 약하다. 높이는 8m 내외로서 중국에서 들어왔다. 수피가 미끄러울 정도로 매끈하고 새로 벗겨진 자리는 색깔이 연하기 때문에 수피가 알록달록하다. 소지(小枝)는 사각형이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윤기가 있고 털이 없다. 꽃이 오랫동안 피어 있어서 백일홍나무라고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간즈름나무 또는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가지는 네모지고털이 없다. 새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길이 2.5∼7cm, 나비 2∼3cm이다. 겉면에 윤이 나고 뒷면에는 잎맥에 털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로서 7∼9월에 붉은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20cm, 지름 3∼4cm이다. 꽃잎은 꽃받침과 더불어 6개로 갈라지고 주름이 많다. 수술은 30∼40개로서 가장자리의 6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果)로서 타원형이며 10월에 익는다. 보통 6실이지만 7∼8실인 것도 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사의꽃 자주괭이밥  (0) 2021.03.26
봄의 전령사 산수유  (0) 2021.03.26
포근한 사랑 갯버들  (0) 2021.03.26
봄을 알려주는 하아신스  (0) 2021.03.22
사색의 꽃 팬지  (0) 2021.03.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