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3 번식의 쉬나무 그래서 옛날 선비들이 살던 마을에는대부분 쉬나무와 선비의 바른 정신을 의미하는 회화나무가 있는 것이다. 19세기 석유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전에는 소나무 옹이 부분인관솔이나 아주까리, 들깨기름또는 쉬나무 기름을 짜서 불을 밝혔으며, 그중에서 쉬나무가 가장 많은 기름을 얻을수 있어서 귀중한 나무로취급되었다. 어린 나무는 회색빛 도는 갈색을띤다. 묵을수록 검은 회갈색이 되고 가로로 약간 주름이 지고 가지가 떨어진 자리에 흔적이 남으며 밝은 청회색 얼룩이 생긴다. 밋밋하면서도 길쭉한 껍질눈이 많아 거칠다. 잎줄기에 길이 5~12㎝ 정도의 잎 7~11장이 마주 달려 홀수로 난 깃털 모양이 된다.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냄새가 나오는 기름점과 둥글고 흐릿한 잔톱니가 있다. 앞면은 털이없고 뒷면의 잎.. 2021. 3. 29. 순수하고 순결한 순채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긴 꽃자루 끝에 1개씩 위를 향하여 달리고 홍자색이며 지름2㎝ 정도로서 물에 약간 잠긴 채로 핀다. 꽃받침잎은 순채 넓은 피침형(披針形: 곪는 데를 째는 침과 같은 모양)이고 끝이 둔하고 3개씩이며 길이 1㎝ 정도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며 꽃받침과암술대가 남아 있다. 종자는 물 속에서 익는다. 우무 같은 점질로 싸인 어린 순을 식용한다. 어린 잎을 지혈·건위·이뇨에 약용한다. 동아시아·인도·오스트레일리아·서아프리카·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이 자라기 시작할 때 어린 줄기와 더불어 우무같은 점질의 투명체로 싸여 있다. 완전히 자란 잎은 수면에 뜨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6∼10㎝, 너비4∼6㎝.. 2021. 3. 29. 바닷가 모래밭 순비기나무 단엽만형(單葉蔓荊)·만형자나무·풍나무라고도 한다.바닷가 모래땅에서 옆으로 자라면서 뿌리가 내린다. 커다란 군락을 형성하며 높이 20∼80cm이다. 전체에 회색빛을 띤흰색의 잔 털이 있고 가지는 네모진다. 따뜻한 곳에서는 상록이지만 추운 곳에서는 낙엽이 지는 식물로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소지(小枝)는 약간 네모지며 백색 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백분으로 덮여 있는 것같다. 꽃에는 밀원이 높아 바닷가의 밀원식물로 좋다. 열매는 해열·진정·진통·소염의 효능이 있어 감창·두통·관절염·안질동통·풍습비통(風濕痺痛)·이명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순비기나무 또한, 잎과 가지에는 향기가 있어 목욕탕 물에 넣어 향료로도 쓴다. 잎은 두꺼우며난형·도란형·넓은 타원형으로 마주난다. 길이 2∼5㎝, 너비 1.5∼3㎝로서 .. 2021. 3. 29. 우애의 수수꽃다리 산기슭이나 마을 주변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다. 줄기는 높이 2-3m에 달하며 어린 가지는 털이 없으며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향기가 있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4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이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라일락과 비슷하지만, 라일락은 잎 길이가 폭에 비해서 긴 편인데, 수수꽃다리는길이와 폭이 비슷한 점이 다르다. 자생지에 대한 정보가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수수꽃다리는 황해도, 평안도 등지에서자라는 특산 식물로 보통 라일락이라고착각할 정도로 거의 모양이 비슷하며, 그밖에정향나무, 개회나무, 꽃개회나무, 버들개회나무 등 비슷한 종류가 있다. 우리나라 자생종이 서양에서 들어온 라일락보다 잎이 크고 꽃 색이 진하며, 곁.. 2021. 3. 29. 이전 1 2 3 4 5 ··· 9 다음